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 2024-09-08 (modified: 2025-09-21)
- 출판일: 2000
- 저자: Karen M. Offen
분류 체계에 의한 정보의 파편화. 남성이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 위주의 분류로 인한 페미니즘 관련 정보의 파편화:
미국의 도서관과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한 것은 여성사처럼 페미니즘의 역사도 기존 지식 분류 체계에서 제자리를 얻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도서관에서 구식 듀이 십진분류법이든 현재 주류인 미국 의회 도서관 분류 체계든, 남성 중심의 사회정치적 운동(사회주의, 무정부주의, 공산주의 등)에는 오랫동안 별도의 분류가 있었던 것과 달리 페미니즘을 위한 별도 분류는 여전히 없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주의는 “정치학”을 나타내는 “J” 범주로 분류되는 반면, “여성”은 “사회과학”을 나타내는 “H” 아래 “HQ”로 함께 묶입니다. 페미니즘과 기타 유사한 여성 운동에 관한 책들은 “사회과학” 범주인 “여성” 아래에 다양한 다른 연구들과 뒤섞여 있지만, 인문학(문학, 음악, 예술 포함) 및 사회과학(사회학, 인류학, 심리학)의 여러 다양한 항목 아래에서 다소 무작위적으로 발견될 수도 있으며, 법률, 의학, 생물학, 경영, 경제, 교육, 또는 전쟁과 평화에 관한 전문 도서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요컨대, 남성 사회정치적 운동 및 문제에 관한 자료들은 훨씬 더 의도적이고 세심하게 분류되어 왔습니다.
What I discovered in American libraries and archives was that-much like women’s history-the history of feminisms has never been accorded a place in existing taxonomies of knowledge. In libraries, for instance, whether under the older Dewey Decimal System or the now hegemonic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system, there is still no separate classification for feminism, as there has long been for male-dominated sociopolitical movements-socialism, anarchism, communism, and so on. Socialism, for example, is classified under the category “J,” for political science, while “women” are lumped together as “HQ,” under “H” for social sciences. One can locate books about feminism and other, parallel women’s movements scrambled together with a wide range of other studies under the “social science” category “Women,” but they also can be found, somewhat randomly, under many and varied rubrics among the humanities (including literature, music, and the arts) and social sciences (sociology, anthropology, psychology), as well as in specialized libraries on law, medicine, biology, business, economics, education, or on war and peace. In short, materials concerning men’s sociopolitical movements and issues have been far more deliberately and carefully classified.